본문 바로가기
유익한정보

쌀 유통기한 얼마 올바른 보관 장소는

by 오전중에 2025. 1. 8.
반응형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주인공인 쌀 유통기한이 있을까요. 마트에서도 상온에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유통기한이나 보관온도를 의식하지 않는 분들이 많은데요. 소비기한이나 유통기한이 없다고는 해도 시간이 지나면 풍미,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정기준으로 하여 기한 내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반년 전에 구입한 미개봉 쌀이 있는데 먹어도 될까요. 라며 쌀 유통기한을 신경쓰는 분들이 있습니다. 가공 식품에는 판매할 수 있는 기한인 유통기한이나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소비기한이 표시되어 있지만 쌀은 소비기한이나 유통기한이 따로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쌀에는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이 없습니다만 도정일을 기준으로 최대 1년 정도 보관하고 드실 수 있습니다. 도정일로부터 시간이 경과하면 쌀 본래의 풍미나 식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맛있게 드시려면 도정일 기준으로 2~3개월 내에는 먹는 것이 좋습니다.

쌀 유통기한 : 도정일 기준으로 1년

도정은 껍질을 벗겨 흰쌀알만 남기는 과정을 말하는데, 도정 과정을 거치면 쌀이 공기와 접촉해 산화되기 시작합니다. 때문에 쌀을 구입할 때도 도정일을 확인해야 하며, 도정일이 최근일수록 신선한 쌀입니다.

 


쌀의 유통기한의 경우 보관방법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요. 상온에 보관하는 것보다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품질 유지와 쌀 소비기한을 늘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오래먹는 쌀 보관 방법

장소 : 쌀은 상온에서도 보관이 가능합니다. 밀폐용기에 담아서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됩니다. 다만, 기온이나 햇빛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어서 쌀을 오래 두고 먹고 싶을 경우에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쌀 냉장 보관 방법 장점

  • 쌀에 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현미는 시간이 지나면 산패가 일어나기 쉬운데 냉장보관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온도 덕분에 쌀의 품질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대량으로 구입했을 때 장기 보관할 수 있습니다.

 

 

쌀 냉장보관 하는법

1. 냉장고에 들어가는 밀폐가 잘 되는 용기를 준비합니다.

2. 용기에 쌀을 담습니다. 큰 용기보다는 작은 용기에 나눠 담는 것이 좋습니다. 지퍼팩에 소분 후 공기를 빼서 보관해도 됩니다.

3. 냉장고의 야채칸이나 과일칸에 보관합니다. 쌀 보관온도는 15도 이하가 적당하며, 4도에서 보관했을 때 품질 변화가 적다고 합니다. 4도 ~ 15도를 맞출 수 있는 곳은 냉장고의 야채 과일칸입니다.

4. 쌀을 소분하여 용기에 담은 후에는 도정 날짜도 꼭 써놓습니다. 쌀은 도정 후 3개월 내에 먹었을 때 맛의 변화가 적습니다.

 

 

쌀 실온보관 하는법

쌀을 몇 개월 내에 드실 경우 실온에 보관하셔도 됩니다. 저는 쌀을 구입하면 2~3개월 안에 먹기 때문에 냉장보관이 아닌 실온보관을 하고 있습니다. 냉장고 야채칸에 빈자리가 없는 것도 이유입니다.

실온에 보관할 경우 밀폐력이 좋은 용기에 담아 보관해야 하는데 생수 페트병이 밀폐가 잘 되고 사용 후 버리기도 편합니다.

1. 페트병을 완전히 건조합니다.
2. 깔때기를 이용해 쌀을 흘리지 않고 담습니다.
3. 쌀을 채우고 뚜껑을 꼭 닫습니다.
4.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합니다.
5. 정기적으로 쌀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쌀을 담았던 페트병은 재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페트병 사용이 걱정된다면 쌀보관통을 따로 구입해서 사용합니다.

 

 

불린 쌀 보관 방법

생쌀은 실온 또는 냉장보관 둘 다 가능하지만 물에 불린 쌀은 냉장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밀폐 용기에 담아서 3~4일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정일에 따른 쌀 상태

  • 최근에 도정한 쌀 : 가장 신선한 상태로 밥맛이나 향이 좋습니다.
  • 쌀 도정일로부터 6개월 지난 경우 : 본래의 풍미나 식감이 상실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쌀에서 묵은 냄새가 날 수 있고 찰기도 부족해집니다.
  • 정일로부터 1년 지난 경우 : 적절하게 보관했어도 풍미와 식감이 도정 직후에 비해 상당히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도정일로부터 2년 지난 경우 : 먹을 수는 있지만 밥맛이 좋지 않으며, 건강에 대한 우려가 됩니다. 되도록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쌀은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이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도정일로부터 시간이 지나면 품질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도정일을 기준으로 6개월 내에는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 오래 보관해야 할 경우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