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정보

오곡밥 먹는날 25년 정월대보름 날짜 언제

by 오전중에 2025. 1. 24.
반응형

흰쌀밥보다는 잡곡밥을 좋아하는 저는 오곡밥 먹는날인 정월대보름이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오곡밥이란 정월대보름에 먹는 특별한 밥인데 맛은 물론 건강에도 좋고 악귀를 쫓고 복을 가져다준다고 합니다. 정확하게 2025년 정월대보름 날짜를 확인하여, 오곡밥 먹으면서 한 해를 건강하고 무탈하게 보내실 수 있었으면 합니다.

 

 

25년 정월대보름 날짜

해가 바뀌고 정신없이 보내다 보면 어느새 설날이 지나고 정월대보름이 찾아옵니다.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1월 15일 이기 때문에 음력으로 1월 1일인 구정 설을 보낸 후에 찾아옵니다.

음력으로는 매년 1월 15일이지만 양력으로는 매년 달라지며, 주로 2월에 있습니다. 작년 정월대보름은 2월 24일 이었습니다. 올해 정월대보름 날짜는 2월 12일이며, 요일은 수요일입니다. 오곡밥 먹는 정월대보름 2월 12일 수요일 기억해주세요.

 

 

정월대보름이 평일이라서 올해는 고향에 계신 부모님댁에서 오곡밥을 먹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정월대보름은 오곡밥 먹는날인 만큼 직접 지어서라도 먹어야겠습니다. 그런데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왜 먹는 걸까요. 잡곡밥을 좋아해서 이유가 무엇이든 맛있게 먹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오곡밥이란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서 만든 밥으로 주로 정월대보름에 먹습니다. 곡식 종류로는 쌀, 보리, 조, 콩, 팥을 주로 사용하며, 각각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 우리나라 주식인 쌀은 풍요와 번영을 뜻합니다.
  • 보리 : 강한 생명과 건강을 뜻합니다.
  • : 재물과 풍요로움을 뜻합니다.
  • : 풍성한 수확, 농사의 번창을 뜻합니다.
  • : 악귀를 쫓아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팥의 경우 붉은색이 악귀를 쫓고 행운을 불러온다고 하여 동지에도 챙겨 먹는 곡식입니다.

 

 

오곡밥 먹는 이유

풍년 기원 : 과거 우리나라는 농사가 주된 생업이었기에 다양한 곡식을 넣어 만든 오곡밥을 먹으면서 한 해 풍년을 기원했습니다.

건강 기원 : 오곡밥을 만들 때 사용하는 곡식에는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이는 건강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정월대보름 날짜쯤이 되면 겨울이 지나고 봄을 맞이하는 시기라서 오곡밥을 먹으면서 건강을 챙겼다고 합니다.

액운 퇴치 행운 기원 : 오곡밥은 나쁜 기운을 막아주고 복을 불러준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오곡밥에 들어가는 붉은팥은 예로부터 액운을 쫓고 복을 불러오는 곡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오곡밥에도 꼭 들어갑니다.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을 먹는 것 외에 다양한 풍습이 있습니다. 묵은 나물도 먹어야 하고 부럼도 깨야 하고 달맞이와 더위 팔기도 해야 합니다. 생각보다 먹을 것도 많고 재미있는 풍습이 많아서 25년 정월대보름 날짜가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오곡밥 먹는날 하는일

묵은 나물 먹기 : 말린 나물을 먹는 것으로 부족한 영양을 채우고, 지난해 나쁜 기운을 정화할 수 있습니다.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오곡밥, 묵은 나물을 함께 챙기면 좋습니다.

부럼 깨물기 : 정월대보름에 땅콩이나 아몬드, 호두 같은 견과류를 깨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는 피부에 부스럼이 생기지 않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견과류를 깨물 때 나는 소리는 나쁜 기운을 쫓아준다고 합니다.

귀밝이술 마시기 : 정월대보름 아침에 마시는 술로,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해 준다고 합니다.

복쌈 싸 먹기 : 복을 싸서 먹는다는 의미로 김이나 취나물잎에 오곡밥을 싸 먹습니다. 식은 오곡밥에 숯불김만 있으면 다른 반찬이 필요 없을 정도로 맛있습니다.

 


달맞이하기 : 정월대보름이 되면 보름달이 뜹니다. 보름달은 매달 음력으로 1월 15일에 뜨는데 정월대보름이 음력으로 1월 15일 새해 첫 보름날입니다.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이기 때문에 달을 보며 소원을 빌고 좋은 기운을 받는다고 합니다.

더위 팔기 : 오전에 만난 사람의 이름을 불러 대답을 받아내면 내 더위 사가라고 말하며, 더위를 파는 풍습이 있습니다. 대답을 한 사람은 더위를 타게 되지만, 더위를 판 사람은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재미로 친구들과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쥐불놀이 : 정월대보름 전날에 논이나 밭두렁에 불을 붙이는 민속놀이입니다.

지신밟기 : 농악대가 마을 곳곳을 돌아다니며 지신(地神)을 달래고 복을 축원하는 민속놀이입니다.

올해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 먹는 것 외에 다양한 전통 풍습을 직접 체험하며 즐거운 하루 보내시고 추억도 많이 만드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