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무엇을 뜻하는지 바로 아셨나요. 저는 닷새 엿새까지는 알겠는데 이레에서 헷갈리기 시작했어요. 이레 여드레 아흐레는 분명 한국말인데 왜 이렇게 낯설고 어려운 걸까요. 아마도 그 뜻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닷새 뜻이나 이레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뜻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지만 정확한 의미는 모르겠다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투리인가 생각할 수 있는데 순우리말 날짜 세는 단위입니다. 보통은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이라고 말하기 때문에 닷새 엿새라는 단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어요.
이레 여드레는 어색하고 낯설지만 하루 이틀 사흘 나흘은 뭔가 익숙하지 않으신가요. 하루는 1일, 이틀은 2일, 사흘은 3일, 나흘은 4일을 표현하는 순우리말로 제법 자주 사용되어서 기억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하지만 5일을 의미하는 닷새부터는 자주 사용하지 않아서 어색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닷새 뜻
순우리말로 5일을 의미합니다. 다섯이 줄어들어 닷이 되고 여기에 날을 뜻하는 옛말인 새가 붙어서 닷새라고 해요. 다섯과 비슷한 발음이라서 외우기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닷새 동안 공부만 했다고 하면 5일 동안 공부를 했다는 뜻입니다.
엿새 뜻
순우리말로 6일을 의미하며, 여섯이 줄어든 엿에 날의 의미하는 새가 붙어 엿새라고 해요. 닷새 엿새는 뭔가 입에 잘 붙는 단어 같습니다. 엿새 동안 휴가를 갔다 왔다고 하면 6일 동안 휴가를 갔다 온 것입니다.
이레 뜻
순우리말로 7일을 의미합니다. 이레 동안 일을 쉬었다고 하면 7일 동안 일을 쉬었다는 뜻이에요. 초이레라는 말도 있는데 이건 무슨 뜻일까요. 이레 앞에 초가 붙은 것은 어떤 일이 시작된 후 처음으로 맞는 7일째 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기가 태어나고 처음으로 맞이하는 7일째 날은 초이레라고 부를 수 있어요.
여드레 뜻
순우리말이며 8일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여드레 동안 여행을 했다고 하면, 8일 동안 여행을 했다는 의미인데요. 여드레라고 하니 왠지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이 표현은 할머니 세대나 옛날 문학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누구나 어렵게 느껴지고 모를 수도 있어요.
아흐레 뜻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다음이니까 아흐레는 9일을 뜻하겠구나 감이 오더라고요. 순서대로 말하면 헷갈리지 않지만 따로 아흐레라는 단어만 들으면 며칠을 말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나마 발음이 아홉과 비슷해서 몇 번 반복해서 말하면 외울 수 있을 거예요.
아흐레를 사용해서 문장을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아요.
- 아흐레 동안 계속 비가 내려서 외출하기 어려웠어요. (9일 동안 계속 비가 내려서 외출이 어려웠다는 의미입니다.)
- 키우던 강아지가 집 나간지 아흐레만에 돌아왔습니다. (9일 만에 집 나갔던 강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입니다.)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다음은 뭘까요. 날짜를 나타내는 순우리말 어렵지만 새롭고 재미있어서 더 알고 싶어 지는데요.
날짜를 나타내는 순우리말
- 10일 : 열흘
- 15일 : 보름
- 20일 : 스무날
- 21일 : 세이레
- 30일 : 그믐
- 3~4일 : 사나흘
- 4~5일 : 네댓새
- 5~6일 : 대엿새
- 6~7일 : 예니레
- 7~8일 : 일여드레
그동안 몰랐던 날짜 세는 순우리말이 많더라고요. 21일을 의미하는 세이레는 처음 들었는데 아기가 태어난 뒤 7일째가 첫이레, 14일째가 두이레, 21일째가 세이레 라고 합니다. 세이레에는 대문이나 집 입구에 금줄을 걸고 부정한 기운을 막았다고 해요.
그믐도 들어본 적은 있지만 익숙하지 않은 말인데요. 음력으로 매달 마지막날을 그믐이라고 합니다. 섣달그믐이라는 말도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섣달은 음력으로 12월을 의미하며, 그믐은 그 달의 마지막 날의 의미하기 때문에 섣달그믐 뜻은 음력 12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날짜를 세는 순우리말은 처음에는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계속 사용하다 보면 익숙해지고 더 풍부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니 기억해 두고, 활용해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공휴일 연휴 언제일까 (0) | 2025.03.20 |
---|---|
참깨 들깨 한말 몇키로 기름 양 얼마 (0) | 2025.03.19 |
식목일 날짜 공휴일 폐지 이유는 (0) | 2025.03.17 |
제곱미터 기호 입력 키보드 특수기호 정리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