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에 공휴일 없을까 찾아봤는데 없네요. 식목일 공휴일 아니었나 다시 달력을 봤는데 비공휴일이라고 합니다. 분명 예전에는 식목일이 쉬는날 이었는데 언제 비공휴일이 된 걸까요. 식목일 공휴일 폐지 이유가 뭘까요.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식목일 휴일은 아니지만 식목일에 하면 좋은 일을 하면서 의미 있게 보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식목일은 무슨날
나무를 심고 가꾸면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는 날입니다. 나무는 공기를 맑게 해 주고, 지구 온난화를 막아주며, 먹거리를 제공하며, 자원이 되어주는 고마운 존재랍니다. 우리 삶에 필수적인 존재라서 해마다 식목일이 되면 나무를 심고, 가꾸는 행사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저도 식물 키우기를 좋아해서 집에서 몇 가지의 식물을 키우고 있는데요. 푸른 잎을 보고만 있어도 마음이 편안해지고 스트레스가 풀리더라고요.
나무심는 식목일 언제
식목일 공휴일 폐지되면서 식목일 날짜가 가물가물해진 분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 식목일은 매년 4월 5일입니다. 양력으로 4월 5일이라서 해마다 같아요.
4월 5일 식목일 공휴일인가요
식목일은 1948년에 제정되었으며, 2005년까지는 쭉 공휴일이었어요. 관공서도 학교도 기업도 모두 쉬는 날이었습니다. 하지만 2006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기 시작했습니다. 꽤 오래된 이야기라서 기억은 잘 나지 않는데 엄청 아쉬워했던 것 같아요.
식목일 공휴일 폐지 연도
2006년부터 비공휴일이 되었는데요. 식목일 휴일에서 비공휴일이 된 이유가 있습니다. 주 5일 근무제 도입으로 인한 근로시간 감소, 생산성 저하가 식목일 공휴일 폐지 이유입니다. 공휴일이 많다고 해서 모두가 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경제적 손실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식목일 공휴일 폐지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해요.
물론 식목일에 도시락 싸서 근처 산에 소풍 가고, 나무도 심었던 추억을 가진 분들에게는 무척 아쉬울 수 있는데요. 식목일에 산불이 많이 발생했던 것을 고려하면 공휴일에서 제외된 것이 다행이기도 합니다. 식목일 날짜가 있는 4월은 날씨가 건조해서 작은 불씨만으로도 큰 산불로 번질 수 있다고 해요.
실제로 공휴일 폐지되기 전까지는 식목일이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하는 날이었다고 하네요. 등산, 성묘, 산나물채취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산을 찾았기 때문이에요.
봄에는 건조한 바람이 불어서 작은 불씨가 큰 산불로 번질 수 있어서 정말 조심해야 돼요. 저는 집 가까이에 산이 있어서 작은 연기라도 피어오르면 불안하고 걱정되더라고요.
봄철 산불 예방방법
1. 라이터, 성냥을 소지하지 않습니다.
2. 산에서는 절대 흡연하지 않습니다.
3. 쓰레기를 소각하지 않습니다.
4. 산불을 발견하면 119에 즉시 신고합니다.
산불 벌금
산불이 무서운 걸 모르고 입구에서 흡연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국립공원에서 흡연 적발 되면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1차 적발 60만 원, 2차 적발 100만 원, 3차 적발 200만 원입니다. 산불을 낼 경우 실수든 고의든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4월 5일 식목일 할 일
올해 식목일은 토요일이에요. 마침 4대 명절인 한식과 날짜가 같습니다. 한식에는 불 사용을 하지 않고 찬음식을 먹는다고 하니 김밥 싸서 근처 공원에서 피크닉 즐겨야겠어요. 거주하는 지역에서 식목일 행사를 진행할 경우 참여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나무 심는 행사의 경우 식목일 날짜보다 빨리 진행하더라고요. 지역 시청, 구청 홈페이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산에 나무를 심지는 못해도 집에 작은 화분 하나를 들여놓고 키우는 것도 식목일을 의미 있게 보내는 방법이에요. 이왕이면 실내공기 정화에 도움 되는 식물을 키우면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보세요. 스투키, 산세베리아, 아레카야자, 다육이, 스파티필름 등이 키우기 쉬워요.
식목일이 공휴일 폐지 되었어도 여전히 의미 있는 날이에요. 나무 심기, 화분 가꾸기, 산에 있는 쓰레기 줍기, 공원으로 피크닉 가기 등을 하면서 자연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휴식도 취하시기 바랍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깨 들깨 한말 몇키로 기름 양 얼마 (0) | 2025.03.19 |
---|---|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뜻 뭐예요 (0) | 2025.03.18 |
제곱미터 기호 입력 키보드 특수기호 정리 (0) | 2025.03.11 |
사흘 나흘 뜻 정확히 알아봐요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