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싱한 굴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굴씻기를 잘해야 하는데요. 굴 세척만 잘해도 굴 비린내가 없어지며,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생굴은 어떻게 세척하는 것이 좋은지 무즙을 활용해 세척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등 세척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별미인 굴은 제대로 씻지 않으면 식중독의 위험이 있습니다. 때문에 꼼꼼하게 세척해야 하며, 우선 신선한 굴을 구입해야 합니다. 신선한 굴은 밝고 선명한 유백색이며 육질이 투명합니다. 노랗게 변색되었을 경우 신선도가 떨어진 것입니다.
또한 신선한 굴을 육질이 탄력이 있어서 눌렀을 때 금방 원상복구 됩니다. 반대로 신선하지 않은 것은 흐물거리고 탄력이 없습니다. 구분하기 어렵다면 믿을 수 있는 마트나 수산시장에서 구매하고, 유통기한도 확인합니다.
굴씻기 중요한 이유
1. 이물질이 붙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식감과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줍니다.
2. 균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식중독을 유발합니다.
3. 비린내가 날 수 있습니다.
소금 사용 생굴 세척법
1. 큰 그릇에 굴을 담고 굵은소금 1스푼을 넣습니다.
2. 굴이 잠길 수 있게 물을 붓습니다.
3. 나무 숟가락으로 살살 뒤적거리면서 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떨어뜨립니다. 손으로 뒤적거려도 되는데 자칫 힘이 들어가서 으깨질 수 있기 때문에 숟가락을 사용합니다. 생각보다 이물질이 많고 투명했던 물도 검어집니다.
4. 체반에 밭쳐 물기를 제거합니다.
5. 깨끗한 물로 2번 더 헹궈서 짠맛을 제거합니다.
6. 다시 채반에 밭쳐 물기를 제거하면 됩니다. 소금을 이용해서 굴씻기 간단합니다.
무즙 사용 굴 세척법
1. 강판에 무를 갈아서 무즙을 만듭니다. 귀찮긴 하지만 짠맛과 비린냄새를 싫어해서 무즙을 사용한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2. 굴에 무즙 4스푼 정도를 넣고 나무 숟가락을 이용해 살살 뒤적거리면서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저는 손에 열이 많은 편이라서 신선도가 중요한 음식은 맨손으로 만지지 않습니다.
무즙이 생굴의 이물질을 흡착해주기 때문에 생굴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짠맛이 날 걱정도 덜 수 있습니다.
3. 무즙으로 저어가며 세척 후에는 깨끗한 물로 2번 더 헹굽니다.
4. 체반에 밭쳐 물기를 제거합니다.
생굴에 레몬즙 효과
꼼꼼하게 세척한 후 바로 먹을 수 있지만 레몬즙을 뿌려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레몬즙을 살짝 뿌리면 특유의 비린 맛이 줄어들고, 레몬즙의 산 성분이 세균 번식을 억제합니다. 레몬즙의 비타민C가 굴에 든 철분 흡수를 도와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굴 세척만으로는 불안하다면 가열해서 먹도록 합니다. 면역력이 약하거나 노약자는 굴의 중심 온도가 85도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가열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굴 가열해서 먹는법
- 굴찜 : 찜기에 넣고 쪄서 먹는 방법
- 굴전 : 부침가루, 달걀물 입혀서 기름에 구워 먹는 방법
- 굴볶음 : 각종 채소와 함께 볶아 먹는 방법
- 굴밥 : 밥에 넣어 익혀 먹는 방법
남은 굴 보관법
신선도가 중요한 음식이라서 먹을 만큼 구입하는 것이 좋은데 산지에서는 대량으로 사야 저렴해서 어쩔 수 없이 많은 양을 구입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사온 그대로 바닷물과 함께 냉장보관을 합니다. 단, 보관 기간은 2~3일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세척한 굴을 보관할 경우에는 용기에 담아 굴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레몬즙을 넣어 냉장보관합니다. 보관 기간은 1~2일을 넘기지 않아야 합니다. 좀 더 오래 보관하고 싶을 경우 냉동 보관합니다. 먹을 만큼 소분 후 지퍼팩에 담아, 굴이 잠길 수 있게 물을 넣습니다. 냉동실에 담아 얼립니다. 얼린 굴은 라면 끓여 먹을 때 넣거나 굴국 끓일 때 사용하면 됩니다.
굴은 신선할 때 먹는 것이 가장 맛있고 안전합니다. 가능한 한 빨리 섭취하시고, 대량으로 구입하기보다 먹을 만큼만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곶감 보관 방법 냉장 냉동 어디 (0) | 2025.01.07 |
---|---|
다이소 후레쉬 자가 충전 손전등 후기 (0) | 2025.01.06 |
올리브오일 유통기한 개봉 전후 차이점과 보관법 (0) | 2025.01.01 |
팥 붕어빵 1개 칼로리 얼마 슈크림은 (0) | 2024.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