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스틱은 등산할 때 사용하는 지팡이입니다. 등산스틱을 사용하면 등산 시 신체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피로가 많이 쌓이지 않아서 장시간 걸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산 초보자와 노인은 등산스틱을 준비하고 산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등산스틱 길이 조절과 사용법에 대해 올바르게 숙지해야 합니다.
등산스틱 장점 효과
무릎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하여 무릎 통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등산할 때 무릎에 체중의 2~3배 정도의 하중이 집중되는데 등산스틱을 사용하는 것으로 40%는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내리막에서 균형을 잡아주어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등산스틱 길이 조절이 중요합니다. 등산스틱은 등산 시 신체 부담을 줄이고, 보다 안전하게 산을 탈 수 있게 해 주지만 잘못 사용하거나 길이가 맞지 않으면 오히려 불편할 수 있습니다. 등산스틱을 사용 후 어깨가 아팠던 적이 있는데 이는 길이가 너무 길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등산스틱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짧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스틱으로 땅을 짚을 때 손이 너무 높이 올라가서 팔,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짧은 경우 땅을 짚을 때 몸이 앞으로 기울어져서 자세가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바닥에 제대로 닿지 않아서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등산스틱을 사용할 때는자신의 체격에 맞춰 적절한 길이로 조절해야 합니다.
등산스틱 길이 조절 하기
스틱 길이는 키에 따라 달라지며, 키 × 0.63 라는 계산식으로 자신에게 적당한 스틱 길이를 알 수 있습니다.
- 키 155cm 스틱 97.65 cm
- 키 160cm 스틱 100.8 cm
- 키 165cm 스틱 103.95 cm
- 키 170cm 스틱 107.1 cm
- 키 175cm 스틱 110.25 cm
- 키 180cm 스틱 113.4 cm
일반적으로 자신의 키에서 50cm를 뺀 길이가 적당하다고 하는데 직접 짚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땅을 짚었을 때 팔꿈치가 직각이 되도록 조절하시면 됩니다.
길이 조절하면서 산행하기
평지에서는 팔꿈치가 직각으로 구부려질 정도가 적당하며, 오르막을 오를 때는 조금 짧게, 내리막을 내려올 때는 조금 길게 하는 것이 몸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하산할 때는 5~10cm 길게 합니다. 따라서 등산스틱 높이 조절이 되는 것으로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등산스틱 사용법
평지와 오르막 : 스틱을 앞에 찍고 몸으로 밀면서 스틱 사이로 몸이 빠져나옵니다. 이때 발 모양은 일직선, 보폭은 좁게, 팔꿈치는 직각으로 하고 어깨에 힘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내리막 : 스틱을 어깨너비 보다 넓게 찍고, 무릎이 스틱 앞으로 나가지 않게 합니다. 몸을 숙인 상태로 스틱을 앞으로 뻗은 후 지지한 상태로 천천히 내려옵니다.
등산스틱을 사용하는 것으로 무릎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산행할 수 있습니다.
등산을 할 때는 등산스틱을 사용하는 것 외에 주의사항이 몇 가지 있습니다.
1. 보폭을 작게하고 천천히 걷는 것이 좋습니다. 보폭을 줄이면 체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발목, 무릎 등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2. 준비 운동을 합니다.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어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을 하는 것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면 근육에 산소, 영양이 공급되어 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10~15분 정동 준비 운동 후 등산을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3. 등산화를 착용합니다. 초보자가 안전하게 등산하기 위해서는 등산스틱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 등산화를 착용해야 합니다. 충격을 흡수하여 발바닥, 발목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끄러운 지형을 안전하게 걸을 수 있습니다.
평소 발목이 약한 편이라서 발목까지 보호해 주는 등산화를 착용하는데요. 지난번 산에서 살짝 삐끗했을 때 등산화가 충격을 완화해 주어 금방 나을 수 있었습니다.
주말에 등산 약속을 잡았다면, 제대로 준비하여 안전하고 즐거운 등산을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 74cm 몇 인치 계산하기 (0) | 2023.10.24 |
---|---|
들기름 참기름 냉장 보관 하면 될까 (0) | 2023.10.23 |
인공눈물 보관 사용기한 알아보자 (0) | 2023.10.18 |
마늘 쉽게 잘 까는법 이거 아세요 (0) | 2023.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