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여자 모두 허벅지 둘레가 가는 것보다는 굵은 것이 좋다고 합니다. 여자 평균 허벅지 둘레보다 가늘 경우 당뇨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낙상의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여자 허벅지 둘레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허벅지 둘레 평균 몇 센치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허벅지 둘레는 건강, 체력, 미용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특히 건강 지표로서의 역할이 큽니다. 허벅지가 두꺼워야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위험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여자 허벅지 둘레 중요성
1. 당뇨병 위험 감소 : 허벅지에 전체 근육의 3분의 2가 있으며, 근육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섭취한 포도당의 대부분을 근육이 소모하기 때문에 허벅지 근육이 많아 둘레가 크면 식후 혈당이 높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심혈관 질환 예방 : 허벅지 근육은 혈액순환을 돕는 역할을 하며, 이는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3. 골다공증 예방 : 허벅지 근육은 뼈를 지지해주고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허벅지 평균 둘레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평균 여자 허벅지 둘레 몇센치
키,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에 따라 허벅지 둘레가 달라지는데 여자 평균 허벅지 둘레는 약 53cm 센치 입니다.
키에 따른 이상적인 허벅지 둘레
▶신장(cm)×0.3
- 키가 160cm의 사람이라면 160 × 0.3 = 48cm
- 이상적인 허벅지 둘레는 48cm입니다.
- 이 수치로부터 ±5 cm이내이면 이상적인 두께입니다.
- 가장 두꺼운 부위를 측정했을 때의 두께입니다.
연령별 허벅지 둘레 평균 수치
- 30~34세:53.3cm
- 35~39세:53.4cm
- 40~44세:54.1cm
- 45~49세:54.0cm
허벅지는 너무 가늘다고 해서 예쁜 것이 아닙니다. 다리 전체가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서는 허벅지:종아리:발목 = 5:3:2라는 비율이 이상적입니다.
허벅지 둘레 측정하기
1. 거울 앞에 바르게 서서 가장 두꺼운 부위를 확인하고 측정합니다.
2. 양쪽 다리를 모두 측정합니다.
3. 줄자는 수평을 유지해야 합니다.
4. 매번 같은 시간에 측정합니다.
날씬한 허벅지를 원한다면
식단관리
허벅지 둘레 평균보다 두꺼운 이유로 피하지방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섭취 칼로리를 줄여야 하는데, 운동은 안 하고 식사량만 줄이면 근육까지 빠집니다. 근육이 빠지지 않게 단백질이 풍부한 식단으로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가공식품과 설탕은 칼로리가 높기 때문에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하기
몸의 일부만 마르는 것은 어렵습니다. 허벅지 둘레를 줄이려면 운동으로 소비 칼로리를 늘려야 합니다. 단백질이 풍부한 식사와 함께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합니다.
걷는 자세 교정하기
몸의 중심 축인 골반이 왜곡되어 있는 상태로 걸을 경우 다리 길이가 불균형해집니다. 또한 근육 불균형으로 인해 허벅지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근육이 비대해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 요가, 필라테스 등의 운동이 골반 왜곡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마사지하기
운동 후에는 허벅지 마사지를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노폐물 배출을 돕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오래 앉거나 서있는 분들의 경우 허벅지 부종으로 굵어질 수 있어서 마사지 볼이나 롤러를 사용해 자주 마사지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수면 하기
잠이 부족하면 체지방 축적이 촉진됩니다. 식욕을 조절해 주는 호르몬이 줄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늘어나 지방 축적이 촉진됩니다. 또한 수면 부족은 기초대사량을 감소시켜서 더 많은 열량을 소모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허벅지 둘레는 너무 가늘어도 너무 굵어도 좋지 않습니다. 가능하면 자신의 키에 맞는 굵기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서는 꾸준히 식단관리, 운동, 수면, 스트레칭 등을 해야 합니다. 소개해드린 생활 습관을 잘 지켜서 나에게 가장 어울리는 다리를 만들고 건강도 지킬 수 있었으면 합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1개 100g 칼로리 무게 얼마 (0) | 2024.04.18 |
---|---|
계란 시금치 궁합 상극 일까 (0) | 2024.04.17 |
침대 매트리스 수명 종류별 비교 (0) | 2024.04.15 |
어린이날 나이 기준 몇살까지 (0) | 2024.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