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정보

ppm 농도 단위 읽는법 환산방법

by 오전중에 2025. 6. 2.
반응형

ppm 단위에 대해 들어본 적은 있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 ppm 농도가 높으면 좋은지 나쁜지 모르는 분들이 많아요. 저도 처음엔 ppm이 무슨 수학 공식처럼 어렵게 느껴졌는데, 알고 보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단위였어요. 우리 일상 속에서 생각보다 많이 사용된다고 하니 그 뜻과 읽는법, ppm 단위환산 방법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ppm 단위 뜻은

ppm은 아주 적은 양의 농도나 비율을 나타낼 때 쓰는 단위인데요. 예를 들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질소 같은 대기 오염 물질의 양을 나타낼 때, 농산물에 남아 있는 잔류 농약의 양을 말할 때 사용해요. 암석 속에 들어 있는 미량의 원소의 비율을 표시할 때도 이 단위를 사용합니다.

 

 

익숙하지 않은 단위는 읽는법 조차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ppm 단위 읽는법은 간단해요. 피피엠이며, parts per million(파트 퍼 밀리언)의 약자입니다. 영어를 직역하면 백만 분의 몇이라는 뜻이에요. 그러니까 어떤 물질이 전체 중에서 백만 개 중에 몇 개나 들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ppm은 백만 개 중 1개라는 뜻


예시
1. 공기 중에 이산화질소가 1ppm일 경우, 공기 100만 개 중 1개가 이산화 질소라는 뜻입니다.

2. 물에 농약이 3ppm일 경우, 물 100만 개 중 3개가 농약 성분이라는 것입니다.

아주아주 희박한 농도나 비율을 표현할 때 ppm 단위를 씁니다.

ppm 농도의 측정 대상을 알아볼까요

1. 대기오염 물질(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오존 등) : 공기 중 오염물질인 일산화탄소 9ppm 이상이라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어요.

2. 수질 오염 물질(잔류 농약, 중금속 등) : 수돗물에 잔류염소는 4ppm 이하여야 안전하다고 해요.

3. 식품 내 첨가물 및 유해물질 농도 : 가공식품에는 여러 식품첨가물이 들어가는데 정해진 ppm 이하로 사용해야 돼요.

4.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도 ppm 단위를 사용해서 표시할 수 있어요.

5. 암석이나 토양 속에 포함된 희귀 금속이나 광물질의 함량을 분석할 때도 ppm을 사용해요.

저는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관련해서 ppm에 대해 알고 있었는데 식품, 의학, 공학 등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었어요.

 

 

ppm 단위환산 하는 방법

상황이나 분야에 따라 ppm 단위환산이 필요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물 속 농도는 mg/L(밀리그램 퍼 리터)가 더 직관적이며, 공기 중 농도는 %로 바꾸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비교하기 쉽고 계산도 편리해서 ppm을 mg/L, %로 단위환산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ppm mg/L 환산 방법

물처럼 밀도가 1인 액체에서는 ppm과 mg/L는 거의 같아요. 그래서 물1ppm = 1mg/L 입니다.

5ppm = 5mg/L
100mg/L = 100ppm

이건 물 같은 밀도가 1인 액체에서만 성립되며, 밀도가 다른 경우 밀도까지 고려해서 환상을 해야 돼요. 예를 들어서 밀도가 1.2g/mL이고, 농도가 10ppm이면 10ppm×1.2g/mL=12mg/L 입니다.

 

 

ppm % 단위환산 방법

어떤 문서에서는 ppm 단위를 사용하고 또 어떤 문서에서는 %로 표기되어 있을 수 있어요. 그래서 단위환산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게 좋아요. ppm가 너무 커지면 % 단위가 더 직관적이고 편하답니다.

1% = 10,000ppm
1ppm = 0.0001%

위 기본공식만 알아두면 필요할 때 금방 계산할 수 있는데요.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서 헷갈릴 수 있으니 연습을 해보세요.

예시)
50 ppm = 50 × 0.0001 = 0.005%
5000ppm = 5000 ÷ 10,000 = 0.5%

문제)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ppm 일 때, 몇 % 일까요?

정답)
400 ppm×0.0001=0.04%

 


ppm 단위환산 반대로도 해보세요. % ppm 단위환산 하려면 ×10,000을 하면 돼요.

 

  • 0.01% 농도 = 100ppm
  • 0.05% 농도 = 500ppm
  • 0.1% 농도 = 1,000ppm
  • 0.5% 농도 = 5,000ppm
  • 1% 농도 = 10,000 ppm
  • 2% 농도 = 20,000 ppm

 

%에서 ppm으로 바꿀 땐 ×10,000
ppm에서 %로 바꿀 땐 ÷10,000
이것만 기억하면 쉽게 단위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어렵게 느껴졌던 ppm 단위도 반복해서 보고,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친숙해질 거예요. 아주 작은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지만, 공기, 물, 식품 등에 자주 쓰이는 단위이니 꼭 기억해 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