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나 피부가 노랗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혹시 황달인가 덜컥 겁부터 납니다. 얼굴 황달 증상의 경우 간 기능 문제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생활 습관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얼굴 황달 원인에 대해 정확히 알고 대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황달이란
피부와 눈흰자가 노랗게 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주로 간이나 담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데 그 원리는 간단합니다. 우리 몸에서 적혈구가 파괴될 때 만들어지는 빌리루빈이 간에서 처리되지 않고 혈액에 쌓여서 황달 증상이 생깁니다. 빌리루빈이 제대로 처리 되지 않는 황달 원인으로는 간질환, 담도 질환이 있습니다.
얼굴 황달 원인 질환
총담관결석
간에서 소장으로 담즙이라는 액체를 보내는 관에 돌이 생긴 것입니다. 이 돌을 담석이라고도 합니다. 담석이 담관을 막으면 담즙의 흐름이 막히고, 빌리루빈이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해 얼굴과 눈 흰자위가 노랗게 됩니다. 담관이 막히면 얼굴 황달 증상 외에도 소변 색이 짙어지고, 복통이 발생하고, 소화가 잘 안 되고 식욕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간염, 간경변
간에서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중 빌리루빈 농도가 올라서 황달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간 기능이 저하되는 원인으로는 급성 간염, 간경변 등의 질병이 있습니다.
급성 간염 : 간에 갑자기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바이러스나 독성 물질로 인해 발생합니다. 알코올이나 B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경변 : 알코올 중독과 만성 간염이 원인이 되어 간이 딱딱해지고 기능이 저하되는 질병입니다. 그대로 두면 복수, 간성 혼수, 간암 등도 발생하게 됩니다.
간질환의 경우 초기에 증상이 없지만 황달로 눈치챌 수 있으며, 피로감, 복통, 흰색변, 짙은 황갈색 소변, 잦은 출혈과 멍 등으로 눈치채는 경우도 있습니다.
췌장암
얼굴 황달 증상 췌장암은 아닐까 걱정하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췌장암과 담관은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췌장암이 담관을 압박하거나 침범할 경우 황달이 발생하게 됩니다. 췌장암의 경우 조기 발견이 어려운 것은 물론 치료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바로 검사 받아야 합니다. 황달 외에 상복부 통증, 체중감소, 식욕감소, 소변 색깔 변화 등이 나타납니다.
왠지 얼굴이 노랗고 흰자위도 노란 것 같아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더니 정상이었던 경험은 없으신가요.
얼굴 황달 원인 생활습관
저는 얼굴과 손발 피부가 노란색인 것 같아서 병원에 갔더니 정상이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음식의 영향이었는데 당근이나 귤 같은 비타민A가 많은 음식을 먹을 경우 피부가 노랗게 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를 카로틴 황달이라고 하는데 질병은 아니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카로틴은 당근, 고구마, 호박, 귤 등에 들어 있는 자연 색소인데요. 카로틴이 많은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서 피부색이 노랗게 됩니다. 먹는 양을 줄이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그러나 카로틴 황달의 경우 눈 흰자위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눈 휜자위 노란색일 경우에는 질병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질병으로 인한 황달 특징
1. 피부 특히 는 흰자위가 노랗게 변합니다.
2.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높게 나타납니다.
3. 간 질환, 담도 문제 등이 원인이 됩니다.
4. 피로, 식욕 부진, 복통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됩니다.
카로틴 섭취로 인한 황달 특징
1. 손바닥, 발바닥, 얼굴이 노랗게 됩니다..
2. 눈 흰자위는 변하지 않습니다.
3. 카로틴 풍부한 음식의 과다섭취로 발생합니다.
4. 빌리루빈 수치는 정상입니다.
5. 식이 조절하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흰자위 얼굴 황달 치료 방법
자신은 물론 남들도 황달이 있는 것 같아라고 느낀다면 서둘러 검사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검사부터 받아야 합니다.
간질환이 원인이 되는 황달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수술, 시술, 생활 습관 개선 등이 있습니다. 간질환은 종류가 다양하고 각 질환의 진행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또한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하는데 간에 부담을 주는 알코올을 제한하고 지방이 많은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간에 부담을 주는 비만도 개선해야 합니다.
담도 문제라면 수술이나 약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담석이 생겼을 때 수술할까 약으로 조절할까 고민하게 되는데 제 주변 사람들은 대부분 담낭 제거 수술을 했습니다.
황달 증상이 의심될 때는 참고 무시하면 안 됩니다.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심각한 간 질환이 원인이 될 경우 금주만으로 치료되지 않습니다. 내 몸에서 그것도 가장 잘 보이는 얼굴에 나타나는 황달 신호를 놓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건강한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가 계속 물처럼 나오는 이유 (0) | 2024.08.20 |
---|---|
청사과 초록사과 효능과 칼로리 (0) | 2024.08.19 |
자다가 땀을 많이 흘리는 이유 (0) | 2024.08.13 |
비오는날 회 먹어도 될까요 (0) | 2024.08.08 |
댓글